[보도자료] “제발 저도 같이 데려가 주세요” 루시의 친구들, 산불현장 후속 구조 사투

  • 카라
  • |
  • 2025-03-28 14:57
  • |
  • 169


      • 화재 피해 당한 동물들 속출, 한 생명이라도 더 살리기 위한 후속 노력과 구조 활동 계속

      • 승합차로 함께 대피한 백구, 묶인 동물들의 안위 살피는 주민들도 늘어나 변화조짐

      • 살아 돌아온 바둑이와 염소, 불길 속에서도 생명과 희망의 메시지 던져


화마가 휩쓸고 간 현장에 도움을 필요로하는 동물들과 제보가 속출하고 있다. 루시의 친구들은 323일 경북 의성 화재 현장에서 구호 활동을 개시한 이래 24일부터 현재까지 연일 합동 구호 활동을 펼치고 있다. 단체들은 현재 화재 피해가 심각한 안동과 청송까지 지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활동을 위해 면사무소의 협조하에 피해 동물 제보를 받고 있다.


함께 대피하지 못한 동물들 (사진출처: 루시의 친구들)


루시의 친구들은 의성 안동 청송 등 모든 현장 활동에서 쇠줄에 매이거나 철장에 갇혀 불길에 사망한 다수의 반려동물과 농장동물들의 사체를 발견하였다. 하지만 이전과 다른 긍정적 사례들도 발견되고 있다. 김복희 코리안 독스(KDS)대표는 대피소로 동반 대피가 어렵자 내 손자와 같은 반려견이라며 대형 백구를 승합차에 싣고 함께 대피해 살려낸 어르신, 화재 대피하면서 염소와 바둑이의 줄을 풀어준 주민분, 또한 소방관님이나 현장에 오신 기자분들이 동물들이 탈출할 수 있도록 줄을 풀어 주기도 하셨다며 이전과는 다른 모습으로 희망을 준다고 말했다.


끝내 묶인 채 불길에 타서 숨진 개. (사진출처: 루시의 친구들)




동반 대피가 불가능해 보호자와 승합차로 대피했다 돌아온 백구. 보호자는 “내 손주 같은 녀석”이라며 애틋한 마음을 전했다. (사진출처: 루시의 친구들)


그러나 다른 한편, 여전히 시골지역의 반려동물 방치사육은 큰 문제로 대두되었다. 평소 묶여만 살았던 탓에 줄이 풀려도 주변을 맴돌아 화재 피해를 당하거나 로드킬 등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 바로 그런 경우다. 구호 활동중 황량한 도로가에 몸을 숨기고 있던 탈진 상태의 작은 개를 발견, 구조한 케이케이나인 레스큐(KK9R) 김현유 대표는 개의 상태로 볼 때 오랫동안 방치사육된 상태로 보이며 구조가 조금만 늦었으면 사망했을 것이라며 이 외에도 화재 현장에 여전히 묶여 방치되거나 평소에도 열악하고 박탈된 삶을 살았을 수많은 개들이 발견된다. 일단 먹이와 물을 공급했지만, 근본적으로 방치 사육이 해결되고 동반 대피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안타까워했다.


도로가에서 탈진한 채 발견돼 구조된 소형견. (사진출처: 루시의 친구들)


고령층이 주된 인구인 지역 특성도 문제다. 루시의 친구들은 할아버지가 아끼는 강아지가 집에 묶여 있으니 도움을 요청하며 위험하면 줄을 풀어달라는 제보를 받고 수의사와 현장을 방문해 급식과 진료를 한 후 손녀딸을 통해 할아버지께 개의 안부를 전하기도 했다. 현장에서 두고 온 동물을 걱정하며 눈시울을 적시는 노인분들도 만날 수 있었다. 동물권행동 카라 김영환 정책 국장은 의성, 청송, 안동 등에 노령층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 특성에 따라 본인은 물론 동반대피나 줄을 풀어주는 등의 활동이 취약하거나 불가능한 경우에 대한 후속 정책 제도 마련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동물의 고통은 물론이거니와 동물들의 보호자의 트라우마 관리 차원에서도 동물피해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수라는 입장이다.


줄이 풀러줘서 가까스로 살아남은 개들이 다시 만나 서로의 안부를 묻고 있다. (사진출처: 루시의 친구들)


경북 청송에서 대피를 위해 줄을 풀어준 뒤 극적으로 살아 돌아와 보호자와 재회한 바둑이와 염소. (사진출처: 루시의 친구들)


한편 루시의 친구들은 청송에서 현장 조사 중 2000여마리 규모의 초대형 개농장을 발견했다. 이 개농장은 조기 폐쇄되어 이번 화재로 인한 동물들의 피해는 없어 가슴을 쓸어 내렸다. 만약 개식용종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재를 당했다면 수천마리 개들이 떼죽음 당했을 현장에서 단체들은 죽은 채 방치된 개의 백골 사체와 비참한 개식용산업의 현장을 발견했다.

청송의 초대형 폐쇄된 개농장과 그곳에 방치된 백골 사체. (사진출처: 루시의 친구들)


루시의 친구들은 화재가 잦아든 이후 다수의 부상 입은 동물들이 나타날 것을 예상하며 오는 30일 일요일까지 구호 활동을 이어갈 것임을 밝혔다. 한편, 화재 현장의 동물 구호 활동에는 수의사 동물단체 지자체 등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막대한 치료비용 모금에 많은 시민분들의 관심을 호소했다. 현재 루시의 친구들 구조 활동을 위한 모금은 다음 카카오같이가치에서 진행되고 있다.

 

의성, 청송 안동 등 화재 현장 구호 활동에 나선 루시의 친구들 단체:

()도로시 지켜줄개

()동물권행동 카라

()동물보호단체 라이프

()코리안독스

()코리아 케이나인 레스큐(KK9R)

()유엄빠

()TBT 레스큐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