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복지수립대책위원회와 문대림 국회의원실은 ‘말 복지의 현주소와 과제’를 주제로 한 좌담회를 지난 20일 오후 2시 국회의사당의원회관 제4간담회의실에서 개최했습니다.
이번 좌담회는 지난해 10월 소위 ‘폐마목장’에서 일어난 말 학대·방치 사건을 통해 국내 말 복지의 실태를 유관기관 관계자, 피학대 말 입양처 등이 모여 점검하는 자리였습니다.
정진아 동물자유연대 팀장이 사회를 맡고 오옥만 보좌관의 좌장 참여로 좌담회가 시작됐습니다. 첫 발제자로 나선 조현정 동물권행동 카라 활동가는 동물단체들이 공주시 말 학대 사건 발생 직후 연대체를 구성해 사건에 대응한 경과를 설명하고 학대자 엄벌 촉구와 피학대 말 입양처 소통 등 향후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어 안나현 동물권연구변호사단체 PNR 변호사는 말산업정보포털상 2024년 서울, 부산에서 퇴역한 경주마 총 1,201개체 중 276마리가 폐사했고 ‘용도 불명’을 포함한 기타 용도로 207개체가 이용된 현황을 짚어 높은 폐사율과 불분명한 정보의 문제점을 알렸습니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고 말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동물보호법령의 개정, 현 등록제도 개선 및 마주 책임 강화, 말 학대 감시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경주마 과잉 생산 통제와 같은 법과 제도 마련이 필요함을 강조했습니다.
입양자이자 토론자로 참여한 강한별 코치는 누군가는 해결해야 할 일이라 생각해 승마인으로서 공주시 피학대 말 입양을 결심하게 되었다며 정부에서 말 복지에 초점 맞춘 정책을 시행해 주길 주문했습니다. 포세이돈을 입양한 이진경 JK호스트레이닝공원 대표는 사람 나이로 보면 100세에 해당하는 노령의 포세이돈을 입양한 계기는 마지막 여생을 편하게 해주고 싶은 마음이었다고 이야기하며 말 보호에 드는 비용 부담으로 인해 지원 확대가 필요함을 호소했고, 이수현 일산승마 마음치유&트레이닝센터 대표는 인연이 닿아 백설이를 입양하게 되었다며 달리지 못하더라도 말들이 사람과 교감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방안 마련에 노력해 주길 당부했습니다.